Surprise Me!

[뉴스큐] 또 막힌 중국산 요소...'요소수 대란' 재연되나? / YTN

2023-12-05 85 Dailymotion

■ 진행 : 이광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큐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이 우리나라로 보내는 산업용 요소의 통관을 갑자기 중단했습니다. 2년 전 요소수 대란 재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2년 전보다 중국산 요소 의존도가 오히려 더 높아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. 지금 상황과 근본적인 해결책은 무엇인지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교수님, 오랜만에 뵙겠습니다. 요소수 문제, 그러니까 결국 2년 전 사태로 재현되는가. 그리고 그 2년이라는 시간 동안 수출 다변화를 포함해서 뭐가 있었나, 이런 것 아니겠습니까. 하나씩 질문드리겠습니다. 일단 지금은 중국이 왜 이렇게 돌연 보류한 걸까요? <br /> <br />[김광석] <br />일단은 공식적인 입장을 들어보면 질소비료공급협회가 있습니다. 여기서 수출을 자제하라. 그리고 국내 내수 우선 공급하라라는 메시지를 던졌고요. 역시 산업부도 이 부분을 명확하게 조사해 보니까 중국 내 요소 공급 부족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다라고 판단했습니다. 이게 명시적인,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제가 아까 수출 다변화라고 했는데 수입 다변화가 맞는 표현인 것 같습니다. 아무튼 요소가 지금 산업의 필수 소재라고 알려져 있고, 하나가 비료용이고 또 한 가지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경유차에 쓰이는 것 아니겠습니까? 소개를 해 주시죠. <br /> <br />[김광석] <br />일단은 제가 첫 번째로 드린 답변에서는 어떻게 보면 요소 공급 부족 문제. 이런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그런 것이다라는 공식적인 의견과는 달리 정치적인 해석을 저대로 해본다면 사실 2년 전의 현상과 똑같습니다. <br /> <br />2년 전에 요소 공급을 차단했던 일이 있었을 때도 중국 입장에서는 중국 내 요소 공급이 부족하다라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그런 것을 견주어서 비교해 본다면 이것이 오로지 정치적인 문제가 아니고 공급 부족에 따른 일이 아니다라고 생각을 해볼 수가 있겠고요. <br /> <br />그러면 이 요소가 도대체 어디에 쓰이느냐. 첫 번째는 산업용입니다. 왜냐하면 여러 석유화학 발전에 걸쳐서 탄소를 저감하고 있는 장치가 있어요. 그러면 여러 요소 공급이 제한이 되면 제조공장이 제대로 가동이 안 되겠죠. <br /> <br />두 번째가 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120517014766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